본문 바로가기

간호조무사

기본간호_병원 환경 조성 돕기_국가시험기출문제풀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D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오늘도 열공해 봅시다.

기본간호는 국가시험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기문제도 잘 풀어가도록 합시다.

임상에서도 기본간호 부분은 업무 하는데서 많이 필요로 하는 부분입니다.

✅ 병원 환경 조성 돕기

 

병원이라는 환경은 처음부터 차지하는 것이 불안감이 높다는 것입니다.

병원은 아파서 오는 것이고, 건강검진을 위한 것으로 어떠한 결과가 나올 것인가에 대한 걱정이 불안으로 나타나므로 불안감을 줄여주기 위해서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사회·심리적 환경
① 불안감 요인의 극복 :

- 간호 및 처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

- 환자와 함께 있어 주면서 환자의 말을 경청

- 불안을 유발시키는 병원 환경 요인을 찾아 이를 극복
② 불안감을 유발시키는 요인 : 

- 의료 용어의 이해 부족

- 사생활(privacy)결여

- 대상자의 역할 박탈

- 병원 규칙의 규격화

- 사회적 격리

- 비인간적인 느낌 


2. 물리적 환경
① 편안한 환경 :  환기> 습도> 온도

- 온도(실내 온도는 20~22℃, 침구 사용의 경우 18℃)

  습도(인체에 가장 적합한 습도는 40~60%, 호흡기 질환 환자의 습도는 50~60%)

  환기(환자에게 직접 바람이 닿지 않게 함, 가장 중요한 요소)

  청결한 공기

  소음 방지(윤활제 사용 및 운반차나 드레싱 카트에 고무바퀴 부착)


| 소음도 기준 |
35~39dB 개인 주택, 아파트, 중역실, 회의실, 병원의 병실, 수술실, 교회, 학교 교실

② 청결한 환경
- 복도, 입원실, 간호사실, 치료실, 가구의 손질, 리넨장의 손질 등 특히 바닥 청소 시에는 비질을 하지 않는다.
- 병실 바닥에 물·용액이 엎질러졌을 때 빨리 닦는 이유 : 미끄러지거나 낙상 등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 안전한 환경 : 물리적 상해(침대 난간 설치), 병원 감염으로 인한 상해(표준예방지침 활용), 화학적 상해(약품·약물의 정확한 사용), 화재로 인한 상해 등


<의료기관 화재 대피 요령>
① 병원 화재 시 대피 :

- 일단 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사실을 알린 후 화재실의 환자를 우선적으로 대피

- 병원 화재 시 대피시켜야 할 순서는 ‘내원객 → 거동 가능 환자 → 경증 환자 → 중증 환자 → 직원’의 순

확실히 살 수 있는 거동 환자부터 살리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최소한의 방법
② 화재 시 엘리베이터는 연기로 인한 질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탑승 금지
③ 문의 손잡이는 손등을 대어보거나 손잡이를 만져 뜨겁지 않으면 문을 열고 피난구로 향한다.

    (손잡이가 뜨거울 경우 다른 피난로를 찾아 이동한다.)
④ 피난층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비상구 및 옥상으로 피난


3. 의료 기구 관리
(1) 고무 제품 관리
① 관장촉 : E.O 가스 멸균처리한다.
② 얼음주머니, 더운물 주머니, 얼음 목도리, 공기방석 : 잘 말린 후 공기를 약간 불어넣어 붙지 않도록 보관한다.
③ 고무포 : 물기를 완전히 닦은 후 둥근 막대기에 걸어 말리거나 비눗물로 한 면부터 잘 닦고 말린 후 반절하여 나머지 반 면을 닦은 후 펴서 의자 등에 걸쳐 마르게 한다.
④ 세척 방법 :기구(예) 주사기)에 피나 점액이 묻어 있으면 찬물로 헹구고 더운 비눗물로 씻는다

(2) 주사기 사용 및 관리와 기타 물품 관리
① 사용 후 물을 한번 통과시킨 후 반쯤 빼서 담가 둔다.
주삿바늘 사용 후에는 손상 예방을 위해 캡(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은 채로 버린다.
주사기에 달라붙은 응혈은 용혈제나 과산화수소(H2 O2) 수에 담가 두면 피가 빠진다.
거즈나 솜은 일반 의료 폐기물 통에 처리한다.
⑤ 곡반은 뜨거운 물에 넣어 소독 후 완전히 물기를 닦는다.

 

💡의료폐기물 분류 💡

 

※  은하출판사


※ 일반의료폐기물 중 입원실 없는 의원·치과의원·한의원에서 발생하는 섭씨 4도 이하로 냉장보관하는 것 : 최대 보관기간 30일
※ 조직물류 폐기물 중 치아 : 최대 보관기간 60일


4. 의료 물품 관리
① 물품 관리의 의미
- 조직체가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 수행에 있어서 소요되는 물품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관리
- 물품 관리의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함으로써 낭비를 억제
② 재고 관리 : 재고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자원으로, 병원 진료 활동의 주 기능을 연결해 주는 역할


5. 입·퇴원, 전동 시 간호
(1) 입원 시 간호
① 환자 길잡이(오리엔테이션) : 병실 위치, 휴게실 등 병원 내 시설을 설명하고 기기 작동법 및 수술 예정일, 진단 검사 일시에 대해 설명한다.
② 환자 맞이하기 :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는 환자에게 자신을 소개하도록 한다.
③ 환자의 병실 준비 : 병실의 청결 상태나 물품을 확인한다.
(2) 전동 시 간호
① 다른 병동으로 전동 시 환자 물품 및 남은 약과 의무기록지 등의 차트를 정리하여 해당 병동으로 보낸다.
② 다른 병동으로 전동 시 환자의 기록 상태와 기록 사항을 검토하며 전실 이유, 환자 상태 등을 기록한다.
(3) 퇴원 시 간호
① 환자가 퇴원 후 추후 병원 방문 일자와 장소, 집에서 시행해야 하는 운동, 투약법, 활동 수준, 바른 자세, 주의해야 할 음식(식사요법), 이상 증상 등에 관한 것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시킨다.
② 만일 의사의 권유 없이 퇴원을 원할 경우 이에 관한 적절한 절차(각서)가 있는지 확인한다.


🔍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기출문제와 풀이를 같이 해 봅시다. 

 

2022 하반기

 

3. 혈액이 섞인 객담이 담긴 흡인병을 세척하기 전 찬물로 먼저 헹구는 이유로 옳은 것은?
① 혈액 응고 방지
② 객담 검체 채취
③ 비말 감염 예방
④ 흡인병의 파손 방지
⑤ 흡인병의 멸균 처리


4. 병원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응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부터 대피시킨다.
② 중요한 물건을 찾기 위해 병원 안으로 들어간다.
③ 환자에게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하게 한다.
④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마주 보고 서서 소화기 분말을 뿌린다.
⑤ 출입문의 손잡이가 뜨거우면 천으로 감싸 쥐고 문을 연다.

 

2023 상반기

 

3. 병실의 환경 관리로 옳은 것은?
① 창문 청소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한다.
② 감염병 환자의 침구는 털어서 소각한다.
③ 병실의 소음은 100 dB 정도를 유지한다.
④ 환자의 머리맡에 직접조명을 켜 둔다.
⑤ 바닥의 먼지는 비질을 하여 제거한다.


4. 일반병실 환자의 수술 부위를 드레싱 한 후 나온 거즈의 폐기물 종류는?
① 병리계 폐기물
② 손상성 폐기물
③ 조직물류 폐기물
④ 일반의료 폐기물
⑤ 생물 ∙ 화학 폐기물

 

2023년 하반기

 

3. 일반 병실 입원 환자에게 수혈을 마친 후 배출된 빈 혈액백의 폐기물 분류는?
① 손상성폐기물
② 병리계 폐기물
③ 일반의료폐기물
④ 격리의료폐기물
⑤ 혈액오염폐기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