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
기초약리 3 핵심요약정리로 왔습니다.
잘 정리하고, 문제도 잘 풀어보면서 힘내봅시다.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투약 ▣
1. 투약 시간 및 용량
① 투약 시간 : 항생제, 결핵의 화학요법제, 항고혈압제, 인슐린, 이뇨제 등은 처방된 투약 시간을 반드시 지키도록 합니다.
(일정한 혈중농도를 유지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② 투여 용량 : 한량 → 최소 유효량 → 치료용량(임상용량) → 최대 유효량(극량) → 중독량 → 내량 → 치사량
2. 약의 특성과 복용 시간
복용 시간 약의 특성
식전
•신속한 전체 작용을 기대할 때
•불쾌한 맛을 가지는 약일 때
•강장제, 건위제(위보호제), 식욕증진제, 고미제, 진해제, 구충제
식간
•이뇨제, 강심제
식후
•서서히 흡수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때
•자극성으로 위장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
•소화제
기타
•완하제(하제, 설사제)는 식전, 식간 또는 잠자기 전
•해열제는 식후, 잠자기 전
•항생제는 일정 시간 간격에 맞게 복용
3. 투약 시의 일반적인 주의 사항
① 정확한 약(Right drug), 환자(Right client), 용량(Right dose), 시간(Right time), 방법(Right route)을 확인한다.
② 약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지시된 시간에 사용하며,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는 약의 효력과 중독 증상을 알아야 한다.
③ 안전한 투약을 위해 투약 전 환자를 가장 먼저 확인하고, 약품명과 1회 분량이 정확히 기입된 것만 사용하며 약을 옮겨 담지 않는다.
④ 약을 너무 많이 따랐을 때에는 약병에 다시 붓지 말고 버린다.
⑤ 약은 준비한 사람이 먹이도록 하고, 약을 잘못 사용했을 경우 곧 의사와 간호사에게 보고하여 응급조치를 취한다.
⑥ 환자에게 투약 시 표지(라벨)는 3번 이상 확인하도록 하고, 약을 다 먹을 때까지 환자 곁에 있는다.
⑦ 마약과 수면제는 법률의 규제를 받으므로 수량을 잘 확인한다.
⑧ 액성 약물이 뿌옇게 흐리거나 색깔이 변했으면 사용하지 않는다.
⑨ 약제를 희석할 경우 약의 용해 속도(체내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미지근한 물을 사용한다.
⑩ 수술 후에는 수술 전에 주던 약을 주지 않고 처방을 다시 받는다.
⑪ 맛이 불쾌한 물약 투여 전의 불쾌감 감소를 위해 얼음 조각을 준다.
☞ 약물의 흡수 속도가 빠른 순서 : 정맥주사 → 근육주사 → 피하주사 → 경구투여
☞ 경구보다 비경구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 : 위 내용물에 의해 약효가 영향받을 경우, 더 빠른 약효를 기대할 때,
무의식 환자의 경우
4. 약물의 복용 방법
① 액(물약) : 농도를 맞추기 위하여 흔들어서 주며, 약물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에 입을 대고 먹으면 안 된다.
② 기름약 : 먹인 후 뜨거운 차를 마시게 하거나 차게 해서 먹인다.
③ 치아에 착색되는 약(철분제) : 빨대를 구강 깊이 삽입해 빨아먹는다.
④ 혓바늘이 돋았을 때(함당 정제) : 입안에 물고 있게 한다.
⑤ 설하 투여제(나이트로글리세린) : 혀 밑의 점막을 통해 투여하며, 약물이 녹을 때까지 혀 아래에 넣고 있도록 한다.
⑥ 뤼골 용액(Lugols solution) : 우유나 과일 주스에 희석하여 빨대로 투여하는데, 이는 쓴맛을 감추기 위함이다.
아이오딘 1g에 아이오딘화 2g을 이온제거수(탈이온수) 300ml에 용해한 것
⑦ 하트만 용액(Hartmann’s solution) : 생리식염수에 염화칼슘 및 염화포타슘이 들어 있다.
⑧ 약의 복용에 따른 특성
㉠ 반드시 의사가 지시한 시간에 투여해야 한다.
㉡ 약의 효과는 투여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 위 내용물이 많을 때는 흡수는 늦으나 약의 위에 대한 자극은 적다.
㉣ 빠른 전체 작용을 기대할 때는 공복 시에 복용한다
5. 약물의 종류와 특성
① 응급약
구 분 효 능 부 작 용
에피네프린
※ 급성중증과민증 시 사용 교감신경흥분제, 강심제, 혈관수축제, 중추신경 자극, 심전도 변화, 빈맥, 고혈압, 대사성 산증
국소 출혈 방지, 기관지천식, ※ 금지 : 당뇨병, 동맥경화, 기질성 심장질환, 부정맥
기관지확장증의 경련 완화/
아트로핀 부교감 신경 차단제(※ 수술 전 처치 시 사용)/ 구갈, 구역, 구토, 배뇨 장애, 두통, 호흡 장애,
심계항진
리도케인 국소마취제, 부정맥 치료제/ 졸리움, 구역, 구토, 서맥, 호흡곤란
② 해열진통제
구 분 적 응 증 부 작 용
아스피린(Aspirin) 두통, 신경통, 류마티스열, 발열상태/ 위장 출혈, 발진, 두드러기 등 ※위궤양 환자에겐 금기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두통, 치통 등 발열과 통증, 아스피린 작용과 유사/ 치료용량(상용량) 범위 내에서는
비교 적 경미
③ 마취제
㉠ 전신마취제 : 싸이오펜탈 소듐, 케타민, 드로페리돌, 아산화질소, 아이소플루레인, 할로탄, 사이클로프로페인
㉡ 국소마취제 : 리도케인, 벤조케인, 코케인, 프로케인
④ 결핵 치료제 : 항결핵제를 병용(2가지 이상의 약물 사용)하는 이유는 병원균의 저항력(내성)을 늦추고 약 효과 증진 및 부작용 감소, 균의 혼합 감염 치료를 위함이다.
| 항결핵제제의 종류 및 특성 |
종 류 투여량(성인) 및 경로 부 작 용
1차
아이소나이아지드(Isoniazid) /400mg 1회, 식전 또는 식후경구/말초신경염, 간염, 과민증
리팜피신(Rifampicin) /체중 50kg 미만 : 450mg, 체중 50kg 이상 : 600mg, 1회/식전 경구/간염, 발열, 자반병(소변의 적색변화는 정상임)
스트렙토마이신(SM)/ 0.75~1.0g, 1회 근육주사/ 제8뇌신경 장애(청각 장애, 어지럼), 근육 약화, 신(장) 독성
에탐부톨(Ethambutol)/ 800mg, 1회 식후 경구 /시력 감소, 시야 협착, 적녹색맹
피라진아마이드(Pyrazinamide)/1.5g, 1회 또는 2회 분복, 식후 경구/간독성, 고요산혈증
2차
파라아미노살리실산(Paraaminosalicylic acid(PAS))/10g, 2~3회 분복, 식후 경구 소화 장애, 간독성, 과민증
카나마이신(Kanamycin) /1g, 1회 근육주사/ 제8뇌신경 장애, 신(장)독성
프로디나마이드(Prothinamide)/500g, 1회 또는 2회2 분복, 식후 경구/소화 장애, 간독성, 과민증
사이클로세린(Cycloserine) /500mg, 2회 분복, 식후 경구 / 정신병, 성격 변화, 경련
※ 피라진아마이드(PZA)는 22차 약에서도 병행하여 사용됨.
⑤ 소독 약품 : 취급이 간편, 값싸고 재료가 풍부, 소독 물품이 상하지 않은 것
예) 크레졸 비누액, 알코올, 표백분, 과산화수소수 3%, 석탄산(phenol), 포비돈 아이오다인(베타딘), 아이오다인 팅처
⑥ 항생물질(Anti biotics) : 박테리아(세균)의 성장과 발육을 저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항생제는 치료 효과를 높이려면 혈중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투여해야 한다.
예) 페니실린(Penicilin), 세팔로스포린계(Cephalosporins),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사이클린계(Tetracyclines),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설파제(Sulfa drugs)
⑦ 당뇨병 치료제 : 인슐린, 경구용 혈당강하제
⑧ 자궁수축제와 자궁수축억제제(자궁이완제) : 수축제로 옥시토신과 에르고노빈, 수축억제제(이완제)로 염산리토드린,
황산마그네슘
⑨ 항히스타민제(Anti histamines)
특 성: 항알레르기라고도 하며,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해 알레르기의 증상을 제거
부작용: 졸음, 현기증, 두통, 정신집중을 요하는 사람에게 주의 운전기사
제 제: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 : 부작용이 적은 항히스타민제로 치료용량(상용량)은 1회 2~8mg
-드라마민: 배멀미, 차멀미 등에 사용하며 임신 초기에 구토증에도 사용하며 치료용량(상용량)은 1회 50mg
-염산디펜히드라민: 진정작용, 혈관 수축작용, 치료용량(상용량)은 1회 4~5mg
⑩ 혈압강하제 : 출혈 가능성이 높은 고혈압 환자에게는 항응고제와 아스피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 혈관확장제 : 하이드랄라진, 미녹시딜
㉡ 알파-아드레날린 차단제 : 프라조신, 독사조신
㉢ 베타-아드레날린 차단제 : 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 말초성·중추성 교감신경 기능 억제제 : 구아네티딘, 클로니딘
㉤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 캡토프릴
㉥ 이뇨제 : 하이드로클로로싸이아자이드, 아밀로라이드, 퓨로세마이드(라식스), 스피로놀락톤, 클로로싸이아자이드
㉦ 칼슘통로차단제(칼슘길항제) : 암로디핀, 딜티아젬, 베라파밀, 니페디핀
⑪ 항협심증약 : 나이트로글리세린, 아질산염, 질산염, 파파베린, 아미노필린, MAO 억제제, 칼슘길항제, 프로프라놀롤, 베타 차단제 등
⑫ 기관지확장제 : 에피네프린, 에페드린, 살부타몰(벤토린은 살부타몰의 상품명), 페노테롤, 폴모테롤
⑬ 응급약 및 구충제
㉠ 응급약 :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리도케인, 탄산수소소듐, 글루콘산칼슘
㉡ 구충제 : 메벤다졸, 피페라진, 피란텔파모에이트, 알벤다졸, 플루벤다졸, 프라지콴텔
6. 기타
① 제산제 : 이미 분비된 위산을 중화하여 위액의 pH 상승으로 십이지장 점막 및 위장 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
예) 수산화알루미늄(제산 작용, 고인지혈증의 교정), 탄산칼슘(제산 작용, 칼슘공급, 말기 신부전 환자의 고인지혈증
조절), 미란타Ⅱ(위산 과다, 속쓰림, 위부 불쾌감, 구역, 구토, 위통)
② 디기탈리스(digitalis) : 강심제로서 디곡신(디기탈리스 제제)을 투여하기 전 맥박을 먼저 측정하여 50~60회 이하이면 투약을 금하며 투약 후에는 맥박을 측정하여 서맥이 보이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③ 소화성 궤양제 : 위산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위산에 의한 위염이나 십이지장궤양을 치료함(H2 길항제). 예) 시메티딘
④ 아미노필린 : 기관지 평활근 이완제로 천식 환자의 발작 시에 사용하며 저혈압의 부작용이 올 수 있다.
⑤ 페노바비탈 : 이는 진정제의 용도로 쓰인다.
⑥ 디아제팜(바륨) : 항불안제로 수술 전 처치, 경련 시 사용한다.
⑦ 젠센 바이올렛 : 구내염, 아구창, 농가진, 질염에 사용하는 항진균제
⑧ 생리식염수 염분의 농도 : 0.9%
⑨ 좌약 : 온도가 낮은 곳에서는 약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실온에서 보관한다.
⑩ 디곡신의 작용 : 약물 축적작용, 느린 맥박(서맥), 심장박동 능력 증가, 이뇨제 작용을 하며, 디곡신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는 디기탈리스 독성의 징후나 증상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검사받아야 하며, 심근경색이 있는 환자에게 디곡신을 투여할 때는 디기탈리스 독성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극도의 주의를 요한다.
디기탈리스 독성은 저칼륨혈증(저포타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및 고칼슘혈증 환자에게서 강화된다. 디기탈리스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심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⑪ 하이드랄라진 :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말초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동맥을 직접 확장시킨다. 고혈압, 신기능 부전에 효과가 있다.
10문제정도 같이 풀어보도록 합시다.
문제 1.
항생제를 복용할 때 지켜야 할 투약 시간의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① 약물의 맛을 개선하기 위해
②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③ 약물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④ 환자의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⑤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문제 2.
약물의 투여 용량에서 '최소 유효량'과 '최대 유효량'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① 최소 유효량은 치료 효과가 없는 양, 최대 유효량은 치료 효과가 있는 양
② 최소 유효량은 부작용이 없는 양, 최대 유효량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양
③ 최소 유효량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한의 양, 최대 유효량은 안전한 최대 양
④ 최소 유효량은 약물의 가격이 낮은 양, 최대 유효량은 가격이 높은 양
⑤ 최소 유효량은 하루에 한 번 복용하는 양, 최대 유효량은 하루에 여러 번 복용하는 양
문제 3.
식전 복용이 필요한 약물의 예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① 소화제
② 이뇨제
③ 강장제
④ 진통제
⑤ 항생제
문제 4.
투약 시 확인해야 할 '5R'은 무엇인가요?
① 약물, 환자, 용량, 시간, 방법
② 약물, 환자, 반응, 시간, 방법
③ 약물, 환자, 용량, 시간, 리셋
④ 약물, 환자, 용량, 치료, 방법
⑤ 약물, 환자, 용량, 시간, 리포트
문제 5.
약물이 변질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① 계속 사용한다
② 의사에게 문의한다
③ 즉시 버린다
④ 다른 약물과 혼합한다
⑤ 약국에 반납한다
문제 6.
결핵 치료에 항결핵제를 병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① 치료 비용을 줄이기 위해
② 약물의 맛을 개선하기 위해
③ 저항력을 늦추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④ 환자의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⑤ 부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문제 7.
해열진통제 중 아스피린의 금기증은 무엇인가요?
① 두통
② 위궤양
③ 발열
④ 신경통
⑤ 류마티스열
문제 8.
디기탈리스 투여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① 환자의 나이
② 환자의 체중
③ 환자의 맥박
④ 환자의 혈압
⑤ 환자의 알레르기 이력
문제 9.
기관지확장제의 예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① 아스피린
② 에피네프린
③ 리도케인
④ 디곡신
⑤ 아세트아미노펜
문제 10.
약물의 흡수 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나열하세요.
① 경구투여 → 피하주사 → 근육주사 → 정맥주사
② 정맥주사 → 근육주사 → 피하주사 → 경구투여
③ 피하주사 → 정맥주사 → 경구투여 → 근육주사
④ 근육주사 → 경구투여 → 정맥주사 → 피하주사
⑤ 경구투여 → 정맥주사 → 근육주사 → 피하주사
모두 기초약리에 대해서 차근차근 공부해봅시다.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간호_간호기록_핵심요약_국가시험풀이_간호조무사자격증시험 (0) | 2025.04.19 |
---|---|
기본간호_병원 환경 조성 돕기_국가시험기출문제풀이 (0) | 2025.04.19 |
기초약리2_핵심요약_기출문제풀이 (0) | 2025.04.06 |
기초약리1_핵심정리_기출문제풀이 (2) | 2025.03.30 |
2025년 하반기 간호조무사 시험일정 안내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