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D

기초한방_요점정리 해서 같이 합격해 봅시다 :)
1. 제형(劑型)의 종류
1) 탕제: 용기 중에서 약물을 넣고 물을 부어 가열→성분 삼출하는 방법, 급성질환
2) 산제: 마른 약재를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
3) 환제: 각종 약물을 분쇄하여 세말로 한 후 꿀이나 물 또는 풀 등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일정한 크기로 환약을 만드는 것, 만성질환
4) 고제: 약물에다 물을 가하고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진하게 달여 꿀이나 설탕
등의 보조물을 넣고 농축시킨 반유동의 상태로 만든 것, 내복과 외용 두 종류
5) 주제: 약물을 알코올 용액이나 양조주 등에 담그고 유효 성분을 삼출 시켜 복용
6) 정제: 약물을 세말로 하거나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가하여 정제를 만드는 것
7) 엑기스제: 약물의 유효 성분을 전출한 약액을 농축시켜 약물의 일정 용량의 가용성 성분을 제품의 일정량에 일정하게 함유
2. 탕제의 복용 방법
1) 약을 먹는 횟수는 보통 1일 3회
2) 위장에 자극을 주는 약은 식사 직후 복용
3) 구토할 때에는 조금씩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복용
4) 독성이 있는 약을 복용할 경우 처음엔 조금씩 복용
5) 일반적으로 따뜻하게 복용
6) 급성질환
7)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나면 횟수를 줄이거나 복용량을 줄임
3. 명현(瞑眩) 현상
명현 현상이란: 약을 처음 복용 시 나타나는 거부반응으로 일시적으로 증상이 악화되거나 원치 않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
4. 경락
경락: 예로부터 침이나 뜸으로 병을 고치는 것은 ‘경락’이라는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계통의 이상 상태를 침구(針灸) 시술로(針灸) 조정하는 방법
5. 침의 사용
침
목적: ・침을 이용하여 경락상의 경혈점을 자극 치료
・오장육부의 기와 혈의 기능을 조정해 줌으로써 질병을 치료
6. 침의 부작용
1) 체침: 근육의 일시적 긴장으로 빚어진 것으로써 잠시 유침하고 약간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돌리거나 경혈 주위를 눌러 주거나 주변에 침을 놓아서 국부 긴장 상태가 완화되도록 한 후 침이 나오도록 한다.
2) 훈침: 즉시 침을 빼주며 가벼운 환자는 따뜻하게 끓인 물을 먹이면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고, 심한 환자는 인중(人中), 중충혈을 눌러주고 역시 백회(百會) 혈에(百會) 쑥뜸을 한다.
3) 절침: 침체가 몸 밖으로 드러나 있으면 핀셋을 이용하여 빼낸다. 만약 피부 내에서 침이 꺾여 있으면 식지와 중지로 침의 양변을 내리누르고, 침체가 노출된 연후에 핀셋을 이용해 빼낸다.
4) 혈종: 보통 스스로 소멸된다.
7. 침 시술을 받는 환자의 간호
1) 환자 상태를 관찰하여 현기증(현훈)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알린다.
2) 유침 시간 동안 환자의 체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발침 후 알코올 솜으로 침공 부위를 가볍게 누르고 출혈 시에는 피가 멈출 때까지 눌러준다.
4) 체위는 누운 자세가 좋으며 발침 후 남은 침이 없는지 살핀다.
5) 기온이 내려가고 방 안의 공기가 낮은 경우 치료 시 노출 피부면을 적게 하거나 적당히 치료 시간을 단축한다.
6) 침 치료 시의 부작용: 혈종, 부종

문제도 풀어봐요 선생님 :)
문제 1)?
① 자침 부위가 아래로 가도록 체위를 변경하게 한다.
❷ 잠시 기다렸다가 침을 돌려면서 발침 한다..
③ 자침 부위를 얼음찜질한다.
④ 침관을 사용하여 침을 밀어 놓는다.
⑤ 자침 부위의 관절을 운동하게 한다.
문제 2)?
① 관절 운동 범위 감소
② 소변 배설량 감소
❸ 저항력 증진
④ 근육 경련 증가
⑤ 혈액 순환 감소

오늘도 공부 잘했습니다.
합격을 응원하고, 또 기초한방 요점정리, 문제 제출해서 같이 해 볼게요^^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간호_간호조무사자격증_핵심요약1_기출문제 (0) | 2025.03.04 |
---|---|
기초한방_요점정리2_간호조무사자격증 (0) | 2025.02.23 |
산업보건_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_요점정리3 (0) | 2025.02.16 |
산업보건_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_요점정리2 (0) | 2025.01.24 |
산업보건_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요점정리 (0) | 2025.01.23 |